본문 바로가기

금융/노후대비(연금)4

[연금/노후/재테크] 국민연금(노령연금) 추가납입 가능 확인 방법 안녕하세요. 재테크하는 IT소살입니다. 연금 수령액을 조금이나마 늘려보고자 이런저런 방법을 고민하면서 공부하던 중 국민연금 추가 납입에 대해 알게되었습니다. 확인하기 전에는 오 납입기간을 늘려주니까 나중에 수령액도 늘고 더 좋겠는데? 하고 확인해봤는데 추가 납입 가능한 금액을 잘 따져보고 해야될꺼 같습니다. 저는 납입을 해야할지 말아야할지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하지 못했습니다. 알아보니 현재까지 납입한 개월수에 따라서 계산 방법이 다른것 같습니다. 이부부은 좀 더 알아본 후 추후에 글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1. 국민연금 추가납입액 확인 방법 먼저 국민연금 전자민원서비스에 로그인해 줍니다. [신고/신청] - [추납보험료 납부 신청] 메뉴를 선택해 줍니다. 개인정보 동의를 수행해 줍니다. 추납보험료 납부 신.. 2022. 8. 31.
[연금/노후/재테크] 연금과 세금2 - 퇴직연금 퇴직금 일시에 받은까, 연금으로 받을까? 예전 우리 아버지 세대의 경우 퇴지금을 일시에 받는경우가 많았습니다. 요즘에도 일시금으로 받는경우가 많지만 세 부담 때문에 연금으로 받는 경우도 많아졌습니다. 퇴직금의 경우 퇴직급여가 많거나 근로기간이 짧을수록 세금이 늘어납니다. 그리고 연금으로 받을시 세금혜택이 있어 연금으로 수급하는 경우가 늘어났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연금 수령 시 세금 혜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연금 수령시 세금 혜택 퇴직 소득세는 앞서 말씀드린봐와 마찬가지로 계속 근로기간이 길면 세부담이 줄어듭니다. 다음 표를 보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다음은 퇴직급여액과 계속근로기간에 따른 예상 퇴직소득세 입니다. 같은 금액의 퇴직급여라도 근로기간에 따른 퇴직소득세 차이가 납니다. 위 표는 일시금.. 2022. 8. 8.
[연금/노후/재테크] 연금과 세금 3 - 스마트 인출계획 저번 시간에는 연금의 종류와 세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시간에는 그 세금에 따른 인출계획을 세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출계획이 중요한 이유는 세금 때문입니다. 살아있는 동안 계속 많이 받고 싶겠지만 적립한 금액도 있고 세금도 있습니다. 그리고 인출 시작 후 얼마나 오래 살지도 모르니 계획을 잘 세워야겠죠? 1. 평균수명 우리는 오래살고 싶지 않더라도 살 수 밖에 없습니다. 삶이 즐거우려면 계획을 잘 세워야됩니다. 평균수명까지 산다는 가정하에 인출계획을 세워보겠습니다.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생명표라는 보고서가 있습니다. 현재 2020년 보고서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남자는 평균 80.5년, 여자는 86.5년으로 나오는군요. 자 이제 나와있는 평균수명으로 인출계획을 세워 보도록 하겠습니다. 2. 인출 계.. 2022. 8. 8.
[연금/노후/재테크] 연금과 세금1 - 연금 종류별 세금 저와 같은 많은 직장인 분들께서는 당연하듯 나가는 국민연금과 함께 요즘에는 개인연금 및 퇴직연금도 준비하고 계시는 분들이 많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도 그렇게 준비하고 있는데 문득 갑자기 연금을 받을 시기에 세금이 있는지 있다면 얼마나 내야하는지 궁금해졌고, '세금을 많이 낸다면 굳이 현재를 힘들게 보내야 하나' 라는 생각에 정확히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이제 그 내용들을 정리하여 모든 궁금증을 여기에서 찾아가셧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그 첫번째는 연금의 종류와 세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연금의 종류 우선 연금은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으로 나뉩니다. 공적연금은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보훈연금 등 종류가 많습니다. 아래는 통계청에서 확인하는 공적연금 수급자 현황에서 보이는 공적연금 종류.. 2022. 8. 3.